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Home > 뉴스센터 > WDU 영상 > 5분 칼럼 인쇄하기

5분 칼럼

명쾌하고 재미있는 칼럼! 무심코 지나쳤던 생활에 느낌표를 던진다!
작은 생각의 전환이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한복에도 유행이 있나요?

목록
안녕하세요?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복식과학학과 정민경 교수입니다. 여러분 ‘한복’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가 어떤 것인가요? 지금 우리가 입는 한복과 과거 우리 조상들이 입었던 한복이 똑같은 옷일까요? 그리고 조선시대 한복에도 유행이 있었다는 것을 아시나요? 한복은 고정되었던 의상이 아니고, 끊임없이 변화를 해왔던 옷입니다. 지금도 그 변화는 진행 중입니다. 과연 저고리는 어떤 변화의 역사를 가지고 있을까요? 이 저고리는 고려 말과 조선 초를 살았던 인물의 저고리로, 길이는 엉덩이까지 내려오며, 품이 넉넉한 형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조선 초기에 유행했던 옆트임이 있는 긴 저고리로 활동성을 위하여 겨드랑이 아래를 터주거나 무라고 하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무를 단것이 특징입니다. 이 저고리는 병자호란 시기에의 저고리로, 이전시대에 비하여 길이가 44cm로 짧고, 품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저고리는 18세기에 이르러 회장 양식이 세련화되고 장식화된 것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매아래의 곁마기가 소매쪽이 아닌 옆선에 직선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아마도 ‘곁마기가 활동성을 기능으로 한 것이 아닌 장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닐까’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19세기 덕온공주가 아홉살 때 입었던 것으로, 길이가 16cm로 상당히 짧아서 진동아래 겨드랑이 부분이 거의 남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20세기 삼회장 저고리로 길이는 24cm입니다. 녹색 깃에 자색 삼회장을 대고 소매배래에 별도의 천을 덧단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저고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짧아지기도 하고 길어지기도 하는 등의 유행의 변화가 있어 왔습니다. 치마의 길이는 저고리의 길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화되었습니다. 자 그렇다면, 지금의 한복은 어떨까요? 2012년 2월 프랑스 파리의 시청에서는 벨기에 디자이너 드리스 반 노튼의 FW패션쇼 막이 올랐습니다. 당시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의상을 프린트한 디자인을 준비 중이던 드리스 반 노튼은 한국의 이미지를 찾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고 했습니다. 한복을 제대로 찍어놓은 사진을 찾기가 너무 어려웠는데 한 인턴이 파리의 도서관에서 <김혜순의 아름다운 우리 저고리>를 찾아 왔고, 그 책을 보고 자신이 찾던 이미지가 바로 이런 것이었다며 그때부터 여러 차례 김혜순디자이너와 연락을 통해 디자인을 완성하였다고 했습니다. 이처럼 저고리의 한 부분을 디자인에 사용하기도 하였고 스커트들처럼 저고리를 전체적으로 프린트한 디자인도 있었습니다. 다음은 2018년 FW 서울 컬렉션 오프닝 김혜순한복패션쇼의 장면입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매년 계속 되어 온 서울패션위크에서 ‘한복’이 오프닝 패션쇼에 오른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는 것입니다. 한복과 패션은 별개라는 지금까지의 생각의 틀을 깬 역사적인 순간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패션위크를 주최한 관계자에게 '많은 한복디자이너들 중 김혜순 한복을 택한 이유가 있으세요?'라고 물었더니 강렬한 색감과 전통을 고수하되 '한복은 전통이라 하여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늘 변화하고 새롭게 디자인되어야 한다.'라고 말하는 김혜순선생의 깨인 생각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한복은 다양한 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이제 한복이 고루하다거나 촌스러운 옛날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진 분들이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우리 한국복식과학학과에서는 복식을 비롯한 자수, 염색, 매듭, 문양, 쓰개, 왕실복식 그리고 한복패션디자인까지 다양한 콘텐츠로 전통과 현재의 한복 흐름과 최신 한복패션의 경향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 앞서 신한복에서 언급드렸던 당의와 원삼, 답호와 학창의 같은 우리 옷의 종류와 형태 등도 강의를 통해 모두 배우실수 있습니다. 이러한 한복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여러분은 미래의 한복트랜드를 선두할 인재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의 전통미를 상징하는 한복!
한복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오랫동안 입었던 고유의 옷입니다.


이런 한복이 끊임없이 변화를 해왔고 지금도 변화하고 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과거와 현재의 한복 변화 및 트렌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영상은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복식과학학과 정민경 교수님과 함께 합니다.

  • 블로그로 공유하기
  • 원광디지털대학교 유투브
  • 현재페이지 url 복사
등록일 : 2018-06-18 조회 : 6304
이전글, 다음글 목록 게시글의 이전글, 다음글 목록을 제공합니다.
이전글 자연치유력을 키워야 하는 세 가지 이유 2017-10-23
다음글 피로사회, 뇌피로 해결법 2018-09-28

입학안내

입학상담안내 1588 - 2854 입학안내 1588 - 2854 전화상담 및 입학자료신청
News letter WDU의 생생한 소식을 만나보세요.